git clone시 프로젝트 단위로만 git clone이 가능하다.

 

여간 불편한게 아니다.

그룹 혹은 서브그룹단위로 한번에 다운로드하면 참 좋을텐데.

 

이떄 사용하는 도구는 gitlab CLI 또는 glab이다.

https://gitlab.com/gitlab-org/cli/-/releases

 

Releases · GitLab.org / cli · GitLab

A GitLab CLI tool bringing GitLab to your command line

gitlab.com

 

 

설치방법 : https://gitlab.com/gitlab-org/cli#installation

 

GitLab.org / cli · GitLab

A GitLab CLI tool bringing GitLab to your command line

gitlab.com

 

나는 brew install glab

 

 

토큰 인증 등록 : glab auth login —hostname domain.com —token glpat-12312382183

 

그룹 Clone 방법 : glab repo clone -g 최상위그룹/서브그룹1/서브그룹2 --preserve-namespace --paginate

 

 

 

  1. 로키 스트림의 생성에 사용되는 과정:
    • 로그 데이터는 라벨로 분류됩니다. 라벨은 로그 데이터를 구분하고 쿼리하기 위한 메타데이터로, 키/값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component="printer", location="f2c16", level="error"}와 같은 라벨 세트가 로그 메시지에 할당됩니다.
    • 라벨 세트는 해시되어 고유한 '스트림 ID'를 생성합니다. 이 ID는 특정 로그 스트림을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미지에는 해시된 결과의 예로 3b2cea09797978fc가 있습니다.
  2. 청크의 생성과 저장:
    • 동일한 라벨 세트를 가진 추가적인 로그 메시지들은 같은 '청크'에 추가됩니다. 예를 들어, "Printing is not supported by this printer", "Out of paper", "Too much paper"와 같은 다양한 로그 메시지가 모두 같은 라벨을 공유하므로 같은 청크에 저장됩니다.
    • 이러한 청크는 채워진 후에 압축되고 저장됩니다.
  3. 청크 조회를 위한 인덱스:
    • 청크를 빠르게 찾기 위해, 별도의 작고 분리된 인덱스가 유지됩니다. 이 인덱스를 통해 청크를 빠르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4. 라벨 값의 변화와 새로운 청크 생성:
    • 만약 라벨의 키 또는 값이 달라지면, 다른 해시 값을 가지는 새로운 스트림과 새로운 청크가 생성됩니다. 예를 들어, {component="printer", location="f2c16", level="info"} 라벨 세트는 "Consider the environment before printing this log message"라는 로그 메시지와 함께 새로운 청크를 형성합니다.

 

 

자 그러면 로키의 Chunk 데이터 형식을 더 알아보자.

이 형식은 로키가 로그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하는 내부 구조를 나타냅니다.

 

 

 

프롬쿼리를 공부중인데

카운터, 게이지, 히스토그램등 메트릭타입은 이해를 했다. 쿼리를 레이블로 필터링하거나 혹은 정규표현식으로 필터링하는것까지도 이해를했다.

 

다만 

instant vector 

range vector

rate함수

서브쿼리가 잘 이해가지 않아, 이해하기 위해 끄적인다.

 

사용 메트릭

promhttp_metric_handler_requests_total{code="200"}

메트릭 설명 : 

프로메테우스 메트릭 수집관련 http 응답코드중 200(정상)반환한 요청의 수

쿼리1. instant Vector

promhttp_metric_handler_requests_total{code="200"}

결과값

 

결과값 설명 :promhttp_metric_handler_requests_total 결과값

그래프 결과 :

 

 

쿼리2. Range Vector

promhttp_metric_handler_requests_total{code="200"}[5m]

결과값: 

결과값 설명:  지난 5분간의 반환값. 갯수는 총 20개다. 현재 프로메테우스에서 메트릭 수집하는게 15초간격으로 하니까 5분이면 20개가 맞다.

 

그래프결과: 결과값 자체가 타임스탬프별 결과값을 테이블 형식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래프 출력 못함. 

 

쿼리3. rate(promhttp_metric_handler_requests_total{code="200"}[5m])

결과값:

 

결과값 설명: rate함수(초당 평균 증가율을 계산하는 함수)를 사용하여 5분(300초)동안 초당 평균 요청 증가율을 출력한것.

앞서 5m일때의 값이 약 20개이다. 즉 rate함수가 초당 평균증가율을 계산하는거니까 300초([5m])동안 약 20개 가량이 증가했으니까  20 / 300 하면 대략 0.066666667이 나온다. 

 

그래프결과: 

 

06시 9분에 처음 메트릭 수집이 시작됐고 5분뒤인 14분에 약 20개 가량의 결과값이 쌓였다.

그래서 위와같이 약 14분가량에 밸류값이 0.06666667에 가까운것을 알수있다.

 

레인지 백터로 5m을 줬을 때 최근 5분동안의 결과값을 타임스탬프 형식으로 가져오는것은 맞다. 여기서 오해하면 안되는게 rate 함수를 사용했을 때 최근 5분동안의 증가율만 결과값으로 반환하지만 이를 그래프로 표현했을때는 수집 시점부터의 수집값을 가지고 그래프를 그린다는것

 

쿼리4-1.

rate(promhttp_metric_handler_requests_total{code="200"}[5m])[10m:1m]

 

결과값:

 

쿼리4-2.

rate(promhttp_metric_handler_requests_total{code="200"}[5m])[20m:1m]

결과값:

 

쿼리4-3.

rate(promhttp_metric_handler_requests_total{code="200"}[5m])[20m:10m]

결과값:

 

쿼리4-4.

rate(promhttp_metric_handler_requests_total{code="200"}[5m])[180m:10m]

결과값:

 

 

마지막으로 서브 쿼리에 대한 설명이다. [180m:10m]180분동안 10분간격으로 데이터를 가져온다는 뜻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