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 인덱싱

문자열 인덱싱은 문자열의 특정 위치에 있는 문자를 가져오는 방법이다.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며, 음수 인덱스를 사용하면 문자열의 끝에서부터 역순으로 접근할 수 있다.

# 문자열 설정
text = "Hello, World!"

# 인덱싱 예제
print(text[0])  # 출력: H (첫 번째 문자)
print(text[7])  # 출력: W (여덟 번째 문자)
print(text[-1])  # 출력: ! (마지막 문자)
print(text[-5])  # 출력: o (뒤에서 다섯 번째 문자)

문자열 슬라이싱

문자열 슬라이싱은 문자열의 일부분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슬라이싱은 [start:end:step] 형식을 사용하며, start는 시작 인덱스, end는 끝 인덱스(포함되지 않음), step은 간격을 의미한다.

# 문자열 설정
text = "Hello, World!"

# 슬라이싱 예제
print(text[0:5])  # 출력: Hello (0번 인덱스부터 4번 인덱스까지)
print(text[7:12])  # 출력: World (7번 인덱스부터 11번 인덱스까지)
print(text[:5])  # 출력: Hello (처음부터 4번 인덱스까지)
print(text[7:])  # 출력: World! (7번 인덱스부터 끝까지)
print(text[:])  # 출력: Hello, World! (전체 문자열)
print(text[::2])  # 출력: Hlo ol! (2칸씩 건너뛰며 추출)
print(text[::-1])  # 출력: !dlroW ,olleH (역순으로 추출)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동시에 활용한 실무 예제 - 로그 파일에서 날짜와 오류 메시지 추출하기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동시에 활용하면 문자열의 특정 부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고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그 파일에서 특정 정보를 추출하거나, 텍스트 데이터에서 특정 패턴을 찾는 작업에 유용하다.

로그 파일의 각 줄에서 날짜와 오류 메시지를 추출하는 예제를 살펴보자. 로그 파일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2024-08-07 12:34:56 ERROR: Something went wrong
2024-08-07 12:35:56 INFO: All systems operational
2024-08-07 12:36:56 ERROR: Another error occurred

이 로그 파일에서 날짜와 오류 메시지만 추출하는 코드를 작성해보자.

# 로그 파일의 각 줄을 리스트로 저장
log_lines = [
    "2024-08-07 12:34:56 ERROR: Something went wrong",
    "2024-08-07 12:35:56 INFO: All systems operational",
    "2024-08-07 12:36:56 ERROR: Another error occurred"
]

# 날짜와 오류 메시지를 추출하는 함수
def extract_error_info(log_lines):
    for line in log_lines:
        if "ERROR" in line:
            # 날짜 추출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동시에 활용)
            date = line[:10]  # 처음 10글자: 2024-08-07
            # 오류 메시지 추출
            error_message = line[line.index("ERROR:") + 7:]  # "ERROR:" 다음부터 끝까지
            print(f"Date: {date}, Error: {error_message}")

# 함수 호출
extract_error_info(log_lines)

결과

Date: 2024-08-07, Error: Something went wrong
Date: 2024-08-07, Error: Another error occurred

설명

  1. 날짜 추출: line[:10]을 사용하여 문자열의 처음 10글자를 추출한다. 이는 날짜를 의미한다.
  2. 오류 메시지 추출: line.index("ERROR:") + 7을 사용하여 "ERROR:" 문자열의 위치를 찾고, 그 이후의 문자열을 추출한다.

이 예시는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동시에 활용하여 문자열에서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러한 기법은 로그 파일 분석, 데이터 전처리 등 다양한 실무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복합 연산자는 변수의 값을 업데이트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로, 기본 연산자와 할당 연산자를 결합한 형태이다. 예를 들어, +=, -=, *=, /=, %=, **=, //= 등이 있다. 이러한 연산자는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간결하게 만들어준다.

예시 1: += 연산자

# 초기 값 설정
x = 5

# 복합 연산자 사용
x += 3  # x = x + 3과 동일

print(x)  # 출력: 8

예시 2: = 연산자

# 초기 값 설정
y = 10

# 복합 연산자 사용
y -= 4  # y = y - 4와 동일

print(y)  # 출력: 6

예시 3: = 연산자

# 초기 값 설정
z = 7

# 복합 연산자 사용
z *= 2  # z = z * 2와 동일

print(z)  # 출력: 14

예시 4: /= 연산자

# 초기 값 설정
a = 20

# 복합 연산자 사용
a /= 5  # a = a / 5와 동일

print(a)  # 출력: 4.0

예시 5: %= 연산자

# 초기 값 설정
b = 13

# 복합 연산자 사용
b %= 4  # b = b % 4와 동일

print(b)  # 출력: 1

예시 6: *= 연산자

# 초기 값 설정
c = 2

# 복합 연산자 사용
c **= 3  # c = c ** 3과 동일

print(c)  # 출력: 8

예시 7: //= 연산자

# 초기 값 설정
d = 15

# 복합 연산자 사용
d //= 2  # d = d // 2와 동일

print(d)  # 출력: 7

자료형이란 프로그래밍을 할 때 쓰이는 숫자, 문자열 등과 같이 자료 형태로 사용하는 모든 것을 뜻한다.

예시: Python에서 자료형 이해의 중요성

상황 설명:

Alice는 Python을 배우기 시작한 초보 프로그래머다. 그녀는 계산기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그러나 자료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잘못된 접근: Alice는 자료형에 대한 이해 없이 바로 코딩을 시작했다. 그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두 숫자를 더하는 간단한 계산기를 만들려고 했다.

# Alice의 코드
num1 = input("첫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num2 = input("두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result = num1 + num2
print("결과: ", result)

Alice는 두 숫자를 더한 결과가 기대와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3'과 '5'를 입력했을 때 결과는 '35'가 나왔다.

문제 분석: Alice는 input 함수가 문자열을 반환한다는 사실을 몰랐다. 따라서 num1과 num2는 문자열로 저장되었고, 문자열끼리의 덧셈은 문자열을 이어붙이는 결과를 초래했다.

올바른 접근: 자료형을 이해한 후, Alice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값을 정수형으로 변환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수정된 코드
num1 = int(input("첫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num2 = int(input("두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result = num1 + num2
print("결과: ", result)

이제 Alice의 계산기는 올바르게 작동한다. '3'과 '5'를 입력했을 때 결과는 '8'이 된다.

이 예시는 자료형을 이해하지 않고 프로그래밍을 시작하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보여준다. 자료형을 충분히 이해하는 것은 프로그래밍의 기본이자 핵심이다. 자료형을 이해함으로써 Alice는 올바른 계산기를 만들 수 있었고, 이는 다른 복잡한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도 중요한 기초가 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