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tc/grub.conf

v

  kernel /vmlinuz-2.6.32-504.16.2.el6.x86_64 ro root=/dev/sda2 rd_NO_LUKS LANG=en_US.UTF-8 rd_NO_MD crashkernel=auto KEYBOARDTYPE=pc KEYTABLE=us rd_NO_LVM rd_NO_DM pcie_aspm=off rhgb quiet



 pcie_aspm=off  이거 추가


저걸 켜놓으면 실제 서버에서 저 기능을 지원을 안해도 강제로 지원되는것처럼해서 뭐 장애를 유발시키는 그런건가..


저 기능은 무슨 파워 전력 뭐 그런거랑 관련있는거라고함

리눅스 시스템에서 root 계정이 예비로 사용할수 있도록 각 파티션의 5%를 예비블록으로 빼놈

ex)해당 파티션에 용량이 꽉찼을때 루트가 접속해서 그걸 정리를 하든 삭제를하든 뭔가 작업을 해야하는데 그런걸 대비해서 5% 빼놈


이거는 다른계정은 사용할수 없고 root 만 사용할수 있다. (용량이 꽉차도 어느정도의 복사 이동이 루트계정은 가능)


각 파티션에 tune2fs -l /dev/sda1 | grep -i "block count" 로 어느정도 때갔는지 확인가능




http://unix.stackexchange.com/questions/7950/reserved-space-for-root-on-a-filesystem-why 

warning: unmappable character for encoding UTF8




인코딩한 PC 환경이 ANSI(euckr) 에서  서버가 UTF8 형식에서 실행할때 에러난다.(여튼 인코딩 언어가 달르면 저런 에러)




쉽게는 파일안에 한글로 주석돼있는것들 다 없애면 된다.




아니면 윈도우 인코딩 언어를 utf8로 맞추든가..




여튼 다른곳에서 작업했다면 해당 서버의 인코딩 언어 맞춰줘야함






아니면 서버에서 vi .vimrc 열어서




set fileencodings=utf8,euc-kr




넣어노면 지가 자동으로 utf8 이나 euc-kr 알아서 연다


'job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putty psftp 파일 업다운로드  (0) 2018.09.03
Hdd하드와 ssd 하드에 따른 dbms 속도 비교  (0) 2018.08.31
rpmforge  (0) 2018.08.31
ssl 인즉서 적용 확인하는곳  (0) 2018.08.31
ncdu 명령어  (0) 2018.08.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