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폼 스터디를 시작했다.

각설하고 시작.

 

1. 테라폼 환경 구성

# tfenv 설치
brew install tfenv

# 설치 가능 버전 리스트 확인
tfenv list-remote

# 테라폼 1.5.6 버전 설치
tfenv install 1.5.6

# tfenv로 설치한 버전 확인(변경 전)
tfenv list
  1.5.6
* 1.5.1 (set by /usr/local/Cellar/tfenv/3.0.0/version)

# 테라폼 1.5.6 버전 사용 설정 
tfenv use 1.5.6

# tfenv로 설치한 버전 확인(변경 후)
tfenv list
* 1.5.6 (set by /usr/local/Cellar/tfenv/3.0.0/version)
  1.5.1

# 테라폼 버전 정보 확인
terraform version

# 자동완성
terraform -install-autocomplete
## 참고 .zshrc 에 아래 추가됨
cat ~/.zshrc
autoload -U +X bashcompinit && bashcompinit
complete -o nospace -C /usr/local/bin/terraform terraform
더보기

tfenv는 여러 버전의 Terraform 인프라스트럭처 관리 도구를 설치하고 관리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Terraform은 인프라스트럭처를 코드로 정의하고 프로비저닝하는 데 사용되는 인기 있는 오픈 소스 도구입니다. tfenv는 다양한 Terraform 버전을 손쉽게 전환하고 관리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tfenv를 사용하면 프로젝트 또는 환경마다 다른 Terraform 버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러 프로젝트나 환경에서 서로 다른 Terraform 버전이 필요한 경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프로젝트는 Terraform v0.12을 사용하고 다른 프로젝트는 Terraform v0.15을 사용하는 등의 상황에서 tfenv는 각 프로젝트에 맞는 Terraform 버전을 관리해 줄 수 있습니다.

tfenv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1. Terraform 버전 설치: tfenv install [version] 명령을 사용하여 원하는 Terraform 버전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2. 설치된 Terraform 버전 목록 보기: tfenv list 명령으로 현재 설치된 Terraform 버전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사용 중인 Terraform 버전 변경: tfenv use [version] 명령을 통해 프로젝트 또는 환경에서 사용할 Terraform 버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4. 기본 Terraform 버전 설정: tfenv default [version] 명령을 사용하여 기본 Terraform 버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프로젝트 간의 Terraform 버전 충돌을 피하고 각 프로젝트에 적합한 Terraform 버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tfenv는 rbenv 또는 pyenv와 같은 다른 버전 관리 도구들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개발되었습니다.

 

 

(권장) 자동저장 설정 : 설정(Command+,)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설정 ⇒ Files: Auto Save 값을 afterDelay 선택 진행

설치할때 특별히 문제나는건 없다. 사전에 테라폼 설치돼있으면 Brew unlink 하고 진행하면된다 ##tfenv가 더 효용성이 좋은듯하니

 

위 파일을 통해 ec2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위와같이 terraform init 명령어로 테라폼을 사용하기 위해 이니셜라이징한다.

 

apply 입력시 다음과 같은 에러 발생.

 

사내에서 사용하는 aws configure 계정에서 진행하여 에러가 났다.

default profile을 study용 계정으로 변경후 다시 진행하니 

정상적으로 생성.

 

 

이번에는 태그를 추가해보았다.

보는것처럼 plan 명령어에서 변경(+)된것을 확인

 

위와같이 tag가 추가된것을 확인할수있다.

 

terraform init이 필요한 이유

terraform init 명령은 Terraform을 사용하여 인프라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준비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입니다.

우리가 집을 짓는다고 가정해봅시다. 집을 짓기 전에 필요한 것들이 있습니다. 땅을 사야하고, 벽돌이나 목재 같은 재료를 준비해야 합니다. Terraform도 마찬가지로, 클라우드 환경에서 인프라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도구와 자원들을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terraform init 명령은 이런 준비 작업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Terraform은 인프라를 만들기 위해 여러 제공자(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를 사용하는데요. 이 명령을 실행하면 현재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제공자와 버전을 정확하게 설정하고, 필요한 도구를 내려받아 설치하며, 이 작업을 기록한 파일을 생성합니다. 이렇게 하면 Terraform이 제공자와 도구를 제대로 사용할 수 있고, 인프라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게 됩니다.

 


terraform validate -no-color - 노컬러 옵션 사용하면 결과값 파싱하기 좋음
terraform validate -json : 또는 json으로 결과값 받기

terraform plan -detailed-exitcode - 결과를 시스템 코드로 받기

 

테라폼도 멱등성을 제공한다.

 

replace 옵션으로 멱등성을 깨고 강제로 복원할수도 있다.

 

immutable ? mutable ?

 


Immutable: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면, 물건을 한 번 만들면 그 상태를 변경할 수 없는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레고 블록으로 집을 만들 때 한 번 블록을 연결하면 그 블록을 다시 떼어내거나 수정할 수 없는 것과 비슷합니다. 마찬가지로 테라폼에서도 인프라를 생성한 후에는 그 인프라의 상태를 직접 변경할 수 없습니다. 대신에 변경 사항을 새로운 버전으로 만들어서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Mutable:
Mutable은 상태를 바로 변경할 수 있는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글을 작성할 때 내용을 계속 수정할 수 있는 것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경은 기존의 상태를 덮어쓰기 때문에 원래 상태를 복원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Immutable과 Mutable은 데이터 변경 방식을 나타내고, Immutable한 시스템이 멱등성을 더 자주 갖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개념을 이해하면 시스템 설계 및 데이터 처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다음 main.tf는 ec2 인스턴스 생성 코드

cat <<EOT > main.tf
provider "aws" {
  region = "ap-northeast-2"
}

resource "aws_instance" "example" {
  ami                    = "ami-0c9c942bd7bf113a2"
  instance_type          = "t2.micro"
  vpc_security_group_ids = [aws_security_group.instance.id]

  user_data = <<-EOF
              #!/bin/bash
              echo "Hello, T101 Study" > index.html
              nohup busybox httpd -f -p 8080 &
              EOF

  tags = {
    Name = "Single-WebSrv"
  }
}

resource "aws_security_group" "instance" {
  name = var.security_group_name

  ingress {
    from_port   = 8080
    to_port     = 8080
    protocol    = "tcp"
    cidr_blocks = ["0.0.0.0/0"]
  }
}

variable "security_group_name" {
  description = "The name of the security group"
  type        = string
  default     = "terraform-example-instance"
}

output "public_ip" {
  value       = aws_instance.example.public_ip
  description = "The public IP of the Instance"
}
EOT

 

  • 백엔드 블록의 구성은 테라폼 실행 시 저장되는 **State(상태 파일)**의 저장 위치를 선언한다. (기본: local)
  • 주의할 점은 하나의 백엔드만 허용한다는 점이다.
  • 테라폼은 State의 데이터를 사용해 코드로 관리된 리소스를 탐색하고 추적한다.
  • 작업자 간의 협업을 고려한다면 테라폼으로 생성한 리소스의 상태 저장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외부 백엔드 저장소가 필요하다.
  • 그리고 State에는 외부로 노출되면 안 되는 패스워드 또는 인증서 정보 같은 민감한 데이터들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State의 접근 제어 및 안전한 관리방안 대책수립이 필요하다.

State 잠금 동작

  • 기본적으로 활성화되는 백엔드local이다.
  • 상태를 작업자의 로컬 환경저장하고 관리하는 방식이다.
  • 이 밖의 다른 백엔드 구성은 동시에 여러 작업자가 접근해 사용할 수 있도록 공유 스토리지 같은 개념을 갖는다.
  • 공유되는 백엔드에 State가 관리되면 테라폼이 실행되는 동안 .terraform.tfstate.lock.info 파일이 생성되면서 해당 State를 동시에 사용하지 못하도록 잠금 처리를 한다.

 

 

+ Recent posts